🔽 2026년 최저시급이 새롭게 확정되며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요.🔽 

올해 인상률은 역대 추이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주휴수당 계산법까지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면 빠르게 확인하실 수 있어요.



자주묻는 질문 FAQ

Q1. 입사일이 화요일이고, 회사가 일요일에 쉬는 날이며 주휴수당을 못받나요?

 첫 주에는 실제로 7일을 꽉 채워서 일하지 못했더라도, 1주일 중에 쉬는 날을 주어야 해요. 그래서 일요일 쉬는 날에 주휴수당을 줘야 한답니다.

만약 수요일에 입사해서 다음 주 화요일에 퇴사했다면, 그 7일 동안 하루 쉬는 날이 있으니 주휴수당 1일분은 꼭 줘야 해요.

주휴수당 1일분은 꼭 줘야 해요.

Q2.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1주일’이 뭐예요?

 법에서는 1주일을 쉬는 날 포함해서 7일로 정의하지만, ‘1주일의 시작 요일’을 따로 정해두지는 않았어요. 그래서 보통은 입사한 날부터 7일이 1주일로 봅니다.

‘1주일의 시작 요일’을 따로 정해두지는 않았어요. 그래서 보통은 입사한 날부터 7일이 1주일로 봅니다.

Q3. 근로자가 많고 입사일이 각기 다르면?

 직원이 많고 입사일이 제각각이면 관리가 복잡해지는데요, 이럴 땐 단체협약이나 취업규칙에서 한 주의 시작일을 정해 통일할 수 있어요. 

단, 회사는 통일된 기준 안에서라도, 실제로 근로자가 1주간 개근했을 때 최소 1회의 주휴일과 그에 따른 수당을 보장해야 하는 의무가 여전합니다.